스프링 부트 스타터란?
스프링 부트 개발환경 구축을 위해 필요한 준비 작업들을 최소화해주며, 쉽게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웹사이트입니다.
스프링 부트 스타터 세팅하는 법
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
https://start.spring.io/
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↑
링크된 주소로 접속하면 여러 항목들이 나옵니다.
project
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가져오고, build하는 라이프사이클까지 관리해주는 툴입니다.
과거에는 Maven을 주로 사용했지만, 요즘에는 대부분 그래들을 사용합니다.
Language
스프링 부트를 할 때 사용하는 언어입니다.
Spring Boot
Spring Boot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SNAPSHOT은 아직 제작 중인 버전이며, M1은 정식 릴리즈된 버전이 아닙니다.
Project Metadata
Group : 보통 기업 도메인 명 같은 것을 적습니다.
Package name : 빌드되어 나올 때 결과물의 이름입니다.
Java : 자바 버전을 고를 수 있습니다.
Dependencies
Dependencies에서 어떤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지 고를 수 있습니다.
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는 아래와 같습니다.
Spring Web : 웹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라이브러리입니다. 여기에 tomcat(웹서버), webmvc(스프링 웹 MVC)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Thymeleaf : HTML을 만들어주는 템플릿 엔진 중 하나입니다. HTML을 만들어주는 템플릿 엔진은 회사마다 달라서 프리마커 등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곳도 있습니다.
spring boot devtools : 'html'파일을 컴파일만 해주면 서버 재시작 없이 View파일을 변경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을 시, 코드를 변경할 때마다 서버를 재시작 해야합니다.
GENERATE
모든 설정을 완료했으면 GENERATE를 클릭합니다.
그럼 기본적인 세팅이 완료된 스프링 부트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.
댓글